본문 바로가기
일반의약품

위장관 조절제 트리싹정에 트리메부틴이 들어있다던데, 속 아플 때 먹어보니 괜찮더라고요?

by 윤 약사 2025. 8. 7.
반응형

위장질환 때문에 속이 너무 아플 때, 트리메부틴이라는 성분이 들어간 트리싹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이게 소화불량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인해서 위장 운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를 완화해주는 약물이거든요.

그래서 보통 '위장관 조절제'라고도 하는데, 더 정확하게 본다면 위장관 운동 조절제겠죠.

 

사실 저는 왠만한 건 다 잘 먹는데, 이상하게 뭐만 잘못 먹으면 그렇게 배가 아프더라고요.

막 쥐어 짜는 듯한 통증이라고 해야할까요?

이때, 동네 할머니들이 위장관 운동 조절을 위해서 사먹는 트리싹정을 저도 한번 먹어봤어요.

생각해보면, 내과에서 처방으로도 자주 나오는 약물이라서 꽤나 익숙하기도 하더라고요.

트리싹정에 들어있는 성분이랑 함량, 효과, 특징 등을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위장관 조절제 트리싹정에 트리메부틴이 들어있다던데, 속 아플 때 먹어보니 괜찮더라고요?

트리싹정 성분 및 함량

이 약물에 들어있는 것은 트리메부틴 말레산염 200mg입니다.

트리싹정은 다른 트리메부틴 함유 약물보다 좀 더 많은 양의 약물 성분이 들어가 있습니다.

즉, 함량이 꽤나 높은 것인데요, 왜냐하면 다른 약물들 같은 경우에는 1알에 100mg 밖에 들어가 있지 않아서, 아침, 저녁으로 2번 복용하도록 되어 있답니다.

아래 약물 검색 리스트를 보더라도, 트리메부틴 말레산염(Trimebutine Maleate)가 100mg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죠?

이런 건 모두 하루 2번 먹어야 합니다.

처방의약품으로도 트리메부틴 말레산염이 들어간 게 많이 나오는데 대표적으로 포리부틴정이 있습니다.

포리부틴정에도 이 약물 성분이 100mg밖에 들어가 있지 않죠.

물론 함량이 적다는 게 나쁘거나 열등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단지, 약물이 지속되는 시간이 좀 줄어들 뿐이죠.

 

개인적으로는 하루에 2번 먹는 것보다는, 1알로 한번에 먹고 끝내버리는 게 더 나은 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트리싹정 1정을 복용하는 게 좀 더 편한 듯한 기분이 들더라고요.

트리싹 효과는?

주로 쥐어 짜는 기분이 들거나, 혹은 위장운동이 너무 안되어서 거북하고 토할 거 같은 기분이 들 때 트리싹정을 먹으면 효과가 있거든요?

이게 왜 그런가 살펴보면, 엔케팔린(enkephaline) 수용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갑자기 엔케팔린 수용체라고 하니까 조금 어렵고 생소하게 들리죠?

엔케팔린은 기본적으로 아편 유사체(즉, 오피오이드 opioid)로서, 중독이나 기쁨, 보상회로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엔돌핀과 이름이 비슷한 것을 보더라도 다 아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런데 트리메부틴이라는 성분은 위장관에 있는 신경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미주신경과 관련된 성분입니다.

즉, 중추신경계에는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죠.

위장관 조절제 트리싹정에 트리메부틴이 들어있다던데, 속 아플 때 먹어보니 괜찮더라고요?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뮤(μ), 델타(δ), 카파(κ) 이 세 가지가 있는데, 위장관 운동이 과도할 때에는 카파(κ) 수용체에 작용을 하여 위장관 운동이 항진된 것을 억제시키고, 위장관 운동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뮤(μ) , 델타(δ) 수용체에 영향을 끼쳐서 위장관 운동이 활성화되도록 해주는 것이죠.

그래서 위장관 운동 조절제라고 말해주는 것입니다.

구분 수용체
위장관 운동이 과도할 때 카파(κ) 수용체에 작용
위장관 운동이 저하될 때 뮤(μ) , 델타(δ) 수용체에 작용

상황에 맞춰 정교하게 작용하는 약물이기 때문에, 위장관의 운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문제가 생길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트리싹정 가격은?

약국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트리메부틴 제제인 트리싹은 10정 들어가 있는 것 가격이 1곽에 3,000~3,500원 정도 합니다.

하지만 일반의약품이기 때문에 약국마다 가격이 다 다르고, 좀 더 저렴하게 파는 곳도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약국에 계신 약사님께 문의해보시는 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꽤나 쓰임새가 많은 약물이니 상비약으로 구해두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위장관 조절제 트리싹정에 트리메부틴이 들어있다던데, 속 아플 때 먹어보니 괜찮더라고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