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과 건강

아저씨가 감기약 먹고 오줌이 잘 안 나와요.

by 윤 약사 2025. 7. 7.
반응형

며칠 전에 어떤 할아버지가 와서 소변을 보질 못하겠다고 죽겠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도대체 어떤 원인으로 그런지 모르겠다면서, 어떻게 해야하냐고 하시더라고요.

제가 최근에 어떤 약을 먹은 적이 있냐고 여쭤보니까, 혈압약만 먹고 다른 건 별로 먹은 게 없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다가 무언가가 갑자기 생각 나시는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최근에 감기약을 지어다 먹었는데, 혹시 그게 문제일까요?"

 

감기약이라고 하니까 딱 알겠더라고요.

제가 혹시 어떻게 약을 복용했는지 알 수 있게, 약봉투를 보여달라니까 가방에서 주섬주섬 빼서 보여주시더라고요?

그걸 보니까 딱 알겠더라고요.

왜 이 분이 소변을 잘 못 보는지 말이죠.

감기약 먹고 오줌이 잘 안 나와요.
감기처방전에 페니라민정처럼 항히스타민제가 자주 들어갑니다.

처방전에 적혀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아래 적혀있는 것 중, 베포스타틴슈도에페드린이 바로 소변 보는 것에 문제를 주는 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위 2가지 약물은 남성에게 있어서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처방의약품 명칭 1회 투약량 1회 투여횟수 총 투여횟수 대체가능
덱시부펜(덱시부프로펜) 1 3 3 가능
포타스틴오디정(베포스타틴칼슘) 1 2 3 가능
엘도스캡슐(에르도스테인) 1 3 3 가능
코슈정(슈도에페드린) 1 3 3 가능
휴온스시메티딘정(시메티딘) 1 3 3 가능

 

심지어 이 분은 하루날디정이라고 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도 먹고 있었습니다.

애초에 전립선비대증 때문에 소변도 잘 못보시는데, 감기약까지 먹으니 당연히 소변이 잘 나올 수가 없게 되는 것이죠.

https://kevinluo.tistory.com/25

 

소변이 잘 안나올때 먹는 약, 동국제약 카리토포텐 후기까지 자세히 살펴보면

어르신들이 약국에 와서 자주 호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소변 문제입니다.배뇨 문제가 젊은 사람들한테 있어서는 쿤 문제는 아니지만, 나이가 들면 남성 여성 따질 것 없이 일상 생활 속에서

kevinluo.tistory.com

 

소변이 잘 나오지 않게 하는 대표적인 2가지 감기약 성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기약 먹고 오줌이 잘 안 나와요. 도대체 왜?!

항히스타민제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는 감기약에서 콧물이 나오지 않게 하고, 목이 간질간질하여 재채기가 나오는 것을 억제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졸음이 쏟아지게 만드는 것도 바로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이지요.

왜냐하면 항히스타민제는 항콜린 작용이 있어서 뇌에 작용하여 진전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평소보다 소변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면 아마도 항히스타민제로 인한 부작용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콧물 감기약으로 들어가는 항히스타민제는 요도와 방광입구를 수축하는 작용을 하여서 소변이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요도도 막히고 방광의 입구도 막힌다면 만들어진 소변이 바깥으로 나가질 않겠죠? 

기억하기로 몇 년 전에 소변고임 위험 증가 등으로 인해 항히스타민제의 몇 십 가지가 모두 사용상 주의사항 교정을 요청받았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세티리진이 들어간 지르텍, 알지드엔, 클로르페니라민, 페니라민정 등 콧물 감기 및 비염약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슈도에페드린

이것은 교감신경 흥분제입니다.

원래 이 약물은 비충혈 제거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비충혈 제거제라는 것은 비강이 충혈되어 부풀어 올라 코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이죠.

 

그런데 비충혈 제거제가 소변을 보는 곳에도 작용을 하여 소변이 안나가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답니다.

그래서 이 약물을 복용하면 젊은 사람들도 소변 줄기가 줄어든다면서 거부감을 가지시는 분들이 계시도 한답니다.

왜냐하면 슈도에페드린은 알파 수용체를 흥분시켜서, 요도 괄약근을 수축하는 영향을 줍니다.

요도 괄약근이 수축한다면, 소변이 요도를 통해서 바깥으로 나가는 것을 억제하게 되잖아요?

아저씨가 감기약 먹고 오줌이 잘 안 나와요.

그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위에 있는 α1 receptor에 영향을 주어서 괄약근이 수축하여 요도 통로를 막아버리는 문제가 나타납니다.

그래서 소변 줄기가 평소보다 얇아지고, 심할 경우에는 제대로 나오지 못하게도 되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신일 슈도에페드린정, 슈다페드정, 코슈정 등이 있습니다.

아저씨가 감기약 먹고 오줌이 잘 안 나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