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잡생각을 많이 해서 그런지 밤에 잠이 안 옵니다.
핸드폰을 많이 해서 그런가 같기도 하고, 날씨가 후텁지근해져서 그런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아무튼 확실한 건 새벽 1시까지 잠이 오지 않아서 참 불편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병원에 가서 수면제를 처방받는 것도 조금 부담스럽고요.
왜냐하면 수면제로 나오는 스틸녹스나 졸피드 같은 약물은 직접적으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끼쳐서 내성을 유발할 수 있고 하루 종일 멍하게 만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거든요.
예전에 스틸녹스를 단기간 처방받아서 복용해본 적이 있는데 머리가 어지러워서 정말 힘들었었어요.
잠은 어찌저찌 자게 되긴 하는데 하루종일 진짜 힘들어지거든요.
집중 자체를 제대로 할 수 없어서 내가 일을 하는 건지 뭘 하는 건지 어지러웠답니다.
이때는 약국 수면유도제를 복용해서 잠을 좀 자게 할 수 있습니다.
혹은 순심이나 평심환, 안정액과 같은 한약제제를 먹어서 불안감과 심계항진을 가라앉힐 수도 있고요.
최근들어 업무 스트레스와 인간관계 문제로 인해서 진짜 저녁에 잠이 안 옵니다.
장기적으로 수면유도제를 먹으면 문제가 될 수는 있어도, 짧게 먹으면 괜찮기 때문에 약국 수면유도제를 먹는 게 아무리 생각해도 나을 거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


수면제 vs 수면유도제
우선 수면제와 수면을 유도해주는 수면유도제의 차이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효과가 확실히 강하고 빠른 건 수면제지만 수면유도제가 좀 더 안전하고, 잠 자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저는 우선 고려하는 것은 늘 수면유도제입니다.
구분 | 수면유도제 | 수면제 |
분류 | 일반의약품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 | 전문의약품 의사 처방전 필요 |
성분 | 디펜히드라민, 독시라민 | 졸피뎀, 트리아졸람, 잘레플론 |
원리 | 뇌에 존재하는 히스타민 수용체에 영향을 주어 각성 작용을 억제 | 뇌에 존재하는 GABA 수용체에 영향을 주어 중추신경계가 흥분하지 못하도록 함 |
수면 유도 효과 | 30분~60분 정도 소요 | 5분 이내 작용 |
금단증상? | 없음 | 있음 |
수면유도제는 사실 항히스타민제의 부작용을 이용한 약물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보통 콧물약이나 코감기약으로 사용됩니다.
왜냐하면 코에 존재하는 히스타민 수용체에 영향을 주어서 콧물이 나오지 않게 하기 때문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멀미약으로도 사용하기도 하고 알레르기 약으로도 사용하는데,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 때문에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과 독시라민(doxylamine)이라는 성분을 이용해 아예 수면 유도제로 만들어버린 것이죠.
이 2가지 성분은 다른 항히스타민제 약물보다 뇌에 작용하는 진전 및 안정 효과가 높기 때문에, 약국 수면제로는 주로 독시라민과 디펜히드라민의 단일 제제만 사용되는 편입니다.
즉, 다른 항히스타민제보다 졸린 부작용이 더 강했기 때문에, 수면유도제로 만든 것이죠.


약국 수면유도제 종류는?
개인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은 독시라민 제제입니다.
독시라민이 들어간 건 자멘쏙과 같은 게 있는데, 평소에 수면유도제를 종종 복용하거나, 알러지 비염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를 종종 먹는 사람이라면 소위 약발이 잘 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독한 게 좋더라고요.
독시라민이 확실히 디펜히드라민보다 잠이 더 잘 오고, 더 오래 가거든요.
물론 약물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분들이라면, 약효가 너무 강해서 다음날 어지럽다고도 하시던데 저는 그런 게 적답니다.
아무래도 항히스타민제에 대한 내성이 좀 있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습니다.
약국에 있는 수면유도제를 성분과 가격에 대해 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이름 | 용량 | 가격(참고용) |
디펜히드라민 | 쿨드림 연질캡슐 | 50mg | 3,000원 |
제로민 연질캡슐 | 50mg | 3,000원 | |
슬리펠정 | 25mg | 5,000원 | |
단자민정 | 25mg | 5,000원 | |
독시라민 | 자멘쏙정 | 25mg | 5,000원 |
아론정 | 25mg | 2,000원 | |
아졸정 | 25mg | 2,000원 |
여기에서 제가 가장 선호하는 것은 자멘쏙정입니다.
처음에는 쿨드림 연질캡슐을 먹었는데, 점점 독한 것을 선호하게 되더라고요.
자멘쏙 같은 경우, 약물이 혈관 내에서 줄어드는 시간이 10~12시간 정도 되어, 디펜히드라민 제제의 반감기는 이보다 더 적은 9시간 정도가 되죠.
물론, 어떤 분들의 경우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수면유도제 내성 생길까?
수면제는 장기간 복용하면 내성도 생기고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수면유도제는 어떨까요?
사실 수면유도제도 자꾸 먹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답니다.
제가 그러한 케이스 중 하나인데, 평소에 비염 때문에 콧물약으로 항히스타민제를 종종 복용하다 보니 수면유도제를 왠만한 걸 먹어도 잠이 금방 오지는 않더라고요.
수면유도제 내성으로 인한 것으로, 복용한 기간이 길 수록 약효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죠.
충격적이게도 연세가 많으신 분들에게 무서운 일 중 하나는, 치매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보통 3년 이상 쭉 먹었을 때, 수면유도제로 인해 외에 영향을 미쳐 결국 없었던 치매 까지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물론 이것은 미국 연구에서 나온 것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도 수면유도제를 오랫동안 먹으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는 게 필요하겠습니다.
어찌 되었든, 수면유도제나 수면제는 모두 반드시, 필요한 순간만 짧게 복용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일반의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두포피염으로 귀두에서 피났을 때, 이렇게 대처했어요 feat. 베아로반 연고로 진짜 다행 (2) | 2025.06.11 |
---|---|
관장약으로 다이어트 하면 안돼요! 체중은 진짜 빨리 빠지는데 괜찮지 않아요 ㅠㅠ (4) | 2025.06.10 |
조루 사노바겔 부작용 때문에 사용 포기 (1) | 2025.06.09 |
약국 조루 치료제, 모두 시도해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2) | 2025.06.09 |
노란색 파스 트라스트 패치 무릎 아플 때 붙이니 (4) | 2025.06.09 |